본문 바로가기

금융

2023년 (2022년 귀속)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 전화(보이는 ARS)로 쉽게 끝내는 법

728x90
반응형

 

 

5월은 가정의 달이라고 하지만

각종 신고와 신청의 달이기도 합니다.

 

오늘은 프리랜서인 제가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진행한 후기를

소개해드리려고 하는데요.

 

 

카톡으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안내문이 와서 보니

전화로 쉽게 신고를 끝낼 수 있었습니다.

 

2023년 5월에 진행해야 하는

2022년 귀속 종합소득세 신고 

프리랜서 분들도 놓치지 말고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지난 5월 2일 화요일 오후 2시쯤

국세청으로부터 카톡으로 전자문서가 도착했습니다.

 

종합소득세를 미리 계산해서 안내해주니 

확인하여 ARS 전화로 간편하게 신고하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열람하기를 누르니 점검시간에 하필 걸렸는데요.

오후 10시부터 오후 11시까지는 시스템 점검시간이라고 하네요.

카톡 전자문서 시스템인지 홈텍스 시스템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위 시간을 피해서 확인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1시가 넘기를 기다렸다가 다시 전자문서를 열람해봤습니다.

2022년 귀속 종합소득세 확정 신고 안내문인데요.

 

ARS 개별인증번호가 먼저 보였고요.

종합소득세 환급금이 발생했다고 적혀 있었습니다.

종합소득세 환급받을 세액과 

개인지방소득세 환급받을 세액까지 확인이 가능했습니다.

 

5월 31일까지 신고하면

6월 말까지 환급급을 지급해준다고 합니다.

 

 

 

ARS 전화신고 방법을 보니 매우 간단했습니다.

 

안내되는 번호로 전화를 걸고 

개별인증번호 및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여 인증한 다음

수령계좌를 입력하면 끝납니다.

 

카카오톡으로 받은 신청 안내문에 있는 개별인증번호를

따로 적어놓았다가 전화 신청할 때 보고 입력하면 편합니다.

 

 

 

옆에 총 수입금액 궁금하다면 메뉴가 있길래 열어봤는데요.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저의 소득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프리랜서로 일했기 때문에 

사업소득으로 잡혀있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그 중 카카오도 22,000원 잡혀있는데요.

카카오뷰를 운영하면서 벌어들인 수익 내역인 듯합니다.

열심히 운영한 것치고는 수익이 적다고 생각했는데 

22,000원이면 제 생각보다는 많이 벌었네요........

 

암튼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거래처에서 3.3% 원천징수로 세금신고가 들어가기 때문에 

제가 따로 뭘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국세청에서 이렇게 수입 내역을 잡아주었습니다.

 

이상한 점이 없어서 그대로 신청하기로 했습니다.

 

 

 

2023년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전화로 쉽게 끝내는 법

 

 

먼저 1544-9944 국세청 ARS 전화신청센터로 전화를 걸어줍니다.

그러면 보이는 ARS와 음성 ARS 중에 선택할 수 있게 나오는데요.

저는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는 보이는 ARS로 진행했습니다.

 

 

 

5월에는 종합소득세도 신고하고 근로장려금도 신청해야 하는데요.

저도 이번에 둘 다 진행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를 신고한 과정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2번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를 터치해준 후

1번 소득세 신고서 제출 메뉴를 터치해줍니다.

 

 

 

 

 

다음에는 개별인증번호 8자리를 입력해야 하는데요.

카카오톡으로 받았던 신청 안내문에 있는 개별인증번호를

따로 적어놓았다가 진행하시면 편합니다.

 

다음으로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여기까지 진행하면 인증하기 절차는 우선 끝났습니다.

 

 

 

다음 화면에서는 본격적으로 신고하기 과정으로 넘어가는데요.

우선 접수내역 등을 문자로 받아볼건지 아닌지 선택하게 됩니다.

접수내역 등을 문자로 받아보고 싶다면 휴대전화번호 입력 을 터치해주시면 됩니다.

 

 

 

 

 

문자를 받을 휴대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주면

다음 페이지에서 번호를 확인하는 창이 나오는데요.

맞으면 맞음 터치해주시고, 잘못 입력했다면 다시 입력하기를 터치해주시면 됩니다.

 

 

 

전화를 걸어서 보이는 ARS로 진행하니 

마치 어플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는 것처럼 편리한데요.

데이터 요금이 발생하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내받은 신고서 내용과 세액에 변동이 없어서 그대로 신고하고자 한다면

성함과 환급받을 세액을 확인한 후에 신고 버튼을 터치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신고하기 과정은 끝이 납니다.

굉장히 간단하죠?

 

 

 

다음으로는 환급받을 계좌를 입력하는 단계입니다.

계좌번호로 입금을 받을지, 환급금 통지서를 받아서 기관에 방문하여 현금으로 받을지 선택하면 됩니다.

저는 계좌수령을 선택했습니다.

환급금을 입금 받을 계좌는 본인 계좌여야 합니다.

 

우선 은행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농협 사용하시는 분들은 농협은행과 지역농축협의 코드가 다르므로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계좌번호는 직접 숫자패드에서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음 페이지에서 은행과 계좌번호를 확인해주세요.

이 때 계좌번호를 다 안 보여주고 앞의 6자리만 보여주는 이유는 뭔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맞게 입력된 듯하여 맞음을 터치하여 넘어갔습니다.

 

 

 

이렇게 하면 종합소득세 신고가 완료되었습니다.

저는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별다른 복잡할 게 없어서 

안내문 받은 대로 전화로 신고하니 금방 끝났습니다.

 

이어서 장려금 신청하실 분들은 해당 메뉴를 터치해주시면 되고요.

장려금 신청 대상이 아니시라면 통화종료 터치하시면 됩니다.

 

신고가 끝나니 안내 문자가 도착했습니다.

 

 

 

2022년 귀속 종합소득세 환급 신고서가

정상적으로 접수되었다는 내용의 문자를 받으니 

마음이 후련해지네요.

문자에서 환급받을 세액과 환급받을 계좌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데요.

 

혹시나 계좌를 잘못 입력했다면

다시 전화하셔서 환급계좌 변경 진행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2023년 (2022년 귀속)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확정신고 

진행한 후기 소개해드렸습니다.

 

모두 환급금 많이 받는 계절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